성모님이신 마리아께서는 예수님의 어머니로서 모범적인 신앙생활을 하신 분으로서 교회안에서 그리스도 다음으로 영예로운 자리를 차지하신다. 마리아는 가브리엘 천사의 인사말씀처럼『하느님의 은총을 가득히 받으신 분』 (루가1、28)이시며、인류구원계획에 독특한 방법으로 참여하신 분이시다. 마리아께서 입으신 특은들에 대해 살펴보자. 마리아께서 입으신 특은들은 성서와 전통、교부들의 가르침에 근거하여 교회가 믿을교리로서 선포한 것이다.
(1) 무염시태 (Conce-ptio lmmaculata)=무염시태란 글자그대로 오염되지 않고 수태되셨다는뜻으로、마리아께서는 원죄의 물듦이 없이 잉태되셨다는 것이다. 이것은 마리아께서 하늘에서 내려오셨다는 것이 아니라 인간적인 부모들인 요아킴과 안나를 통해 출생되셨지만、장차 하느님의 아들을 낳으실 분이 시기에 원죄의 물듦이 없이 태어나셨다는 것이다.구약의 창세기에 보면 아담과 이브가 하느님의 급령을 어겨、그 이후 인류의 모든 후손들이 원죄의 세력에 감염되어 하느님의 뜻을 쉽게 저버리는 상황에 처해있는 운명이었다.이 상황에서 구세주께서 오시어 세례성사를 통해 원죄를 사해주는 방법을 주셨다. 그런데 마리아께서는 구세주를 낳으실 분이시기에 하느님의 특별한 은총으로 원죄에 물들지않고 오직 하느님께 순종하는 분으로서의 특별한 은총을 받았다는 것이다.이 교리는 신자들 간에 믿음으로 전해져 오다가 실제로 성모님의 여러차례에 걸친 발현과 교황님의 공식선포로 받아들여진 교리이다.
이 교리와 관련된 성모 발현으로는 1830년 7월18일 프랑스 파리의 박(Bac) 거리에 있는 까리따스 수녀원에서 이루어졌는데、성모님께서는 이 수녀원의 까타리나 라보뢰 (Cathrine Labreux)수녀에게 발현하시어 당신이 원죄없이 잉태되셨음을 말씀해 주신 일리 있다. 그 후 24년 후인 1854년 12월8이에 교황 비오 9세께서는 회칙「형언할 수 없으신 하느님」(Ineffab-ilis Deus)을 통해 다음과 같은 요지로서 믿을 교리로 반포하셨다=『복되신 동정 마리아는 잉태 첫순간부터 인류의 구세주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예견된 공로와 전능하신 하느님의 유일무이한 은총의 특권으로 말미암아 원죄에 물들지 않고 순수하게 보전되었다』.이러한 교의의 반포일이 12월8일이기에 오늘날도 이날을 무염시대(원죄없으신 잉태) 축일로 성대하게 기념한다.
그리고 교황 비오 9세의 이러한 공식적인 반포 후 4년만에、성모님께서는 불란서 남쪽 피레네 산맥 기슭의 조용하고 평화로운 마을인 루르드(Lourdes)의 마사비에르 동굴(Grotte) 에서 나무하러 왔던 열네살의 소녀 벨라벳따(Bernadette Soubiro-us)에게 발현하시어 당신이 원죄없이 잉태되셨음을 말씀하신 일이 있다. 루르드에서 모두 18번에 걸친 발현이 있었다(1858년2월11일부터7월16일까지). 그중 열여섯번째 발현때 (1858년3월25일 목요일) 성모님은 이 소녀에게 당신의 이름은 「원죄 없으신 잉태」라고 말씀하셨다(Que soyera lmmac-ulada conceptiou,Jesuis I’immaculee co-nception). 성모님의 발현과 이름을 들은 벨라뎃따 소녀는 당시 그것이 무슨 뜻인지도 알지 못했으나、벨라뎃따로부터 그말을 전해들은 루르드의 본당신부는 그때서야 무릎을 꿇고 의심을 버리고 성모님의 발현을 믿게 되었다는 일화가 있다.
지금도 발현이 있던 장소에 샘물이 솟아나 그 물을 마시거나 목욕하는 환자들에게 치유의 은총이 계속되고 있으며、신체적인 치유뿐 아니라 정신적인 치유의 은총이 계속되고 있다.발현을 목격한 벨라뎃따는 그후 수녀원에 입회했으며、그의 죽음 후 얼마 안되어 원죄없으신 잉태축일에 시성되었다(1993년 12월8일). 한편 교회당국에서는 수차례에 걸친 기적심사와 조사를 통해 루르드의 발현을 1862년에 공식적으로 인정했으며、1891년엔 루르드의 성모축일(2월11일)이 제정되고 1907년에 전교회의 축일로 지내고 있다.
지금도 루르드는 「원죄없이 잉태되신 성모님」의 발현 성지로서 세계도처에서 몰려드는 수많은 환자들과 순례객들에게 육체적 치유와 정신적 회개의 기적적인 장소가 되고있다.
가장 많이 본 기사
기획연재물
- 길 위의 목자 양업, 다시 부치는 편지최양업 신부가 생전에 쓴 각종 서한을 중심으로 그가 길 위에서 만난 사람들과 사목 현장에서 겪은 사건들과 관련 성지를 돌아본다.
- 다시 돌아가도 이 길을한국교회 원로 주교들이 풀어가는 삶과 신앙 이야기
- 김도현 신부의 과학으로 하느님 알기양자물리학, 빅뱅 우주론, 네트워크 과학 등 현대 과학의 핵심 내용을 적용해 신앙을 이야기.
- 정희완 신부의 신학서원어렵게만 느껴지는 신학을 가톨릭문화와 신학연구소 소장 정희완 신부가 쉽게 풀이
- 우리 곁의 교회 박물관 산책서울대교구 성미술 담당 정웅모 에밀리오 신부가 전국 각 교구의 박물관을 직접 찾아가 깊이 잇는 글과 다양한 사진으로 전하는 이야기
- 전례와 상식으로 풀어보는 교회음악성 베네딕도 수도회 왜관수도원의 교회음악 전문가 이장규 아타나시오 신부와 교회음악의 세계로 들어가 봅니다.
- 홍성남 신부의 톡 쏘는 영성명쾌하고 논리적인 글을 통해 올바른 신앙생활에 도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