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교구 대회에서 WYD 참여자들과 함께 나누기 위한 문화 행사를 기획할 때에는 교구의 것을 일방적으로 보여주는 것보다, 해당 교구에 배정된 여러 나라의 문화가 상호 교류될 수 있도록 북돋는 것이 좋다. 즉 각 나라의 참여자들이 교구 대회에서의 문화 교류를 통해 각 문화권의 노래나 춤, 신앙 전통들을 나눌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는 것이다. 이러한 교류를 통하여 ‘다양성 안의 일치’를 체험하는 것 또한 교구 대회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선물이다.
교구 대회에서의 체험과 나눔을 북돋우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는 교구 내 각 본당 공동체의 다양한 구성원, 즉 어린이들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여러 세대가 모인 가운데 WYD에 참여한 젊은이들과 함께 미사를 드리고, 미사 후 식사 혹은 다과를 나누면서 서로 섞여 앉아 대화하는 자리를 마련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미사뿐 아니라 교구나 본당에서 드리는 다른 전례 혹은 기도 모임에 초대하는 방법도 있다. 하지만 그 전례나 기도 모임이 굳이 거창하고 특별한 것일 필요는 없다. 본당 공동체가 평일에 모여서 드리는 성무일도나 성경 읽기, 묵주기도 등에 함께 하는 것만으로도 WYD에 참여한 젊은이들에게는 충분히 매력적일 것이다. 그들에게는 자신이 알고 있는 기도문을 한국어로 들으면서 함께 묵상하는 것, 묵주기도 등과 같은 한국 고유의 음률을 듣는 것이 무척 새로운 신앙 체험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뿐만 아니라, 교구 지역 내에 가톨릭 운동이나 단체가 있을 경우 그 곳을 직접 방문하여 사람들과 만나는 것도 WYD 참여자들에게 의미 있는 시간이 될 수 있다. 물론 지역 내의 유서 깊은 성당이나 공소, 신학교 등을 방문하는 것, 순교성지 및 신앙 관련 사적지를 순례하는 것 또한 WYD 참여자들이 한국의 토착화된 신앙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리라 본다. 꼭 가톨릭 운동이나 단체가 아니라도, 교구 지역 내의 청소년·청년 운동이나 사회복지 활동 단체와 연계하여 지역 사회의 가난하고 소외된 사람들을 위한 봉사 기회를 마련하는 것 또한 교구 대회의 취지를 잘 살릴 수 있는 방안 중 하나다.
불교 문화의 영향을 받은 한국 교회의 모습 또한 유럽·미주 지역에서 온 참여자들에게는 매력적으로 다가갈 수 있는 요소라 하겠다. WYD 참여자들이 교구 지역 내의 유명 사찰을 방문하여 불교 문화를 직접 접할 수 있도록 하고, 절기도와 같이 불교의 특색을 담고 있는 문화를 맛볼 수 있게 한다면, 타종교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주고 그 가운데 보편적인 신앙의 힘을 발견하는 좋은 문화 교류의 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