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자가 다닌 고등학교는 천주교 재단이 운영하는 학교였다. 당시 교과과정에 종교시간이 있었지만 종교의 본질과 역사,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공부했던 것 같다. 선생님도 신부가 아닌 일반 교사가 가르쳤다. 그땐 천주교에 대해 별 관심도 없어 관심 있게 배우지 않았다.
2학년 때 일이다. 개교기념일 날, 간단한 기념행사를 한 후 학교 측에서 주는 빵을 먹고는 대부분 학생들이 집으로 갔다. 그러나 돌아가지 않는 친구들이 있었다. ‘미사’를 봉헌한다며 성당에 들어가는 것이 아닌가? 호기심이 생겼다. 친구들 틈에 끼어 성당에 들어갔다. 2년 동안 학교에 다녔지만 항상 문이 닫혀 있어 성당 안에 들어간 것은 그때가 처음이었다. 오래된 성당 내부는 바깥에서 본 것보다 볼 것이 많았다. 규모도 컸다. 정면 벽 중앙에 걸려 있는 십자고상(十字苦像)이 눈에 들어왔다. 여느 교회에서 봐왔던 십자가와는 다르게 보였다. 그리고 가지런히 놓인 제대와 오묘한 빛을 발하는 스테인드글라스, 향 냄새, 영성체 등. 신비스럽고 기적이 일어날 것 같은 분위기에 미사가 진행되는 동안 필자는 옴짝달싹할 수 없었다. 그 분위기에 흠뻑 빨려 들어갔다.
이후, 천주교 신자인 친구를 따라 학교 뒤에 있는 교구청을 넘나들었다. 성모당과 성직자 묘역 등이 있는 교구청은 공원이었다. 묘역 잔디밭 위에 자리를 깔고 장래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곤 했다. 지금 생각해보면 필자는 그때부터 천주교 신자가 될 수밖에 없는 ‘운명’이었는지 모르겠다.
그리고 10여 년 뒤, 세례를 받았다. 이처럼 하느님의 은총은 어느 날 갑자기 오는 것이 아니라 준비돼 있는 사람에게 오는 것 같다. 아멘.
가장 많이 본 기사
기획연재물
- 길 위의 목자 양업, 다시 부치는 편지최양업 신부가 생전에 쓴 각종 서한을 중심으로 그가 길 위에서 만난 사람들과 사목 현장에서 겪은 사건들과 관련 성지를 돌아본다.
- 다시 돌아가도 이 길을한국교회 원로 주교들이 풀어가는 삶과 신앙 이야기
- 김도현 신부의 과학으로 하느님 알기양자물리학, 빅뱅 우주론, 네트워크 과학 등 현대 과학의 핵심 내용을 적용해 신앙을 이야기.
- 정희완 신부의 신학서원어렵게만 느껴지는 신학을 가톨릭문화와 신학연구소 소장 정희완 신부가 쉽게 풀이
- 우리 곁의 교회 박물관 산책서울대교구 성미술 담당 정웅모 에밀리오 신부가 전국 각 교구의 박물관을 직접 찾아가 깊이 잇는 글과 다양한 사진으로 전하는 이야기
- 전례와 상식으로 풀어보는 교회음악성 베네딕도 수도회 왜관수도원의 교회음악 전문가 이장규 아타나시오 신부와 교회음악의 세계로 들어가 봅니다.
- 홍성남 신부의 톡 쏘는 영성명쾌하고 논리적인 글을 통해 올바른 신앙생활에 도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