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에서 주변 사람들과 좋은 관계를 맺기 위해 지금 당장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일까요?
아마도 사랑, 나눔, 배려, 친절, 예의 등이 있을 겁니다. 그렇다면 주변 사람들과 더 나쁜 관계가 되지 않기 위해서 지금 우리가 할 수 있는 일들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그것은 사람마다 다를 수 있지만, 지금보다 더 껄끄러워지고, 더 불편해지고, 더 힘들어하고, 더 어려운 관계로 되는 것을 막아주는 것이 있습니다. 그것은 다름 아닌 ‘사과’입니다.
우리는 살면서 좋은 관계를 맺거나 유지하기 위해서 사랑한다는 말, 감사하다는 말, 덕분에 행복하다는 말을 합니다. 하지만 진심과 정성을 담아 ‘미안하다’는 사과의 말은 쉽사리 못합니다. 안 하는 이유가 ‘우리 사이에 뭘! 우리는 서로가 잘 아는데 굳이…. 우리는 친한데 뭐’ 하면서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지금 불편을 겪고 있는 분들과 상담 중에 그 불편의 뿌리를 찾아보면 아주 기본적인 것, 즉 진심과 정성이 담긴 ‘미안합니다’라는 사과의 말을 하지 않아, 결국 꼬이거나 관계가 얽혀버린 경우를 봅니다. 진심과 사랑을 담은 ‘사과’가 얼마나 중요한데.
며칠 전 어느 교구 선배 신부님들을 함께 만난 적이 있습니다. 평소 잘 아는 신부님들이고, 신부님들을 오랜만에 만나는 터라, 가볍고 밝은 마음으로 약속 장소를 찾아 갔습니다. 갔더니 신부님들 세 분이 예나 지금이나 마찬가지로 웃으며 수다를 떨고 계셨습니다. 그래서 나는 신부님들께 인사를 드리며,
“아니, 형님들, 무슨 좋은 일 있으셨어요?” 신부님들은 나를 보더니, 반갑게 맞아주셨고, 이어서 A 신부님이 말씀하셨습니다.
“좋은 일은 무슨 좋은 일. 이 신부들 서로 삐치고, 말 안하고…. 이그, 다들 늙어가지고 주책이지! 그거 풀어주고 그 이야기 하느라 웃는 거야!”
호기심 많은 나는 무슨 일인지를 물었습니다. 그러자 곁에 계신 B, C 신부님들은 말하지 말라고 하는데, A 신부님이,
“야, 이거 강 신부에게 말하면, 가톨릭신문에 기사로 쓸 거고, 그러면 이 인간들 삐친 거, 동네방네 다 알리게 돼서 좋지, 뭐!”
나는 더 궁금해서, 무슨 일인지를 물었습니다. 그러자 A 신부님,
“들어 봐! 예전에 이 두 신부가 B 신부 사제관에서 어제 점심을 먹기로 했나봐. 어제 나는 바빠서 못 갔고. 그런데 며칠 전에 B 신부 본당 주방 봉사자분이 갑자기 그만두게 되었고, 서둘러 다른 봉사자분을 찾은 다음, 어제 B 신부 사제관 주방에서 새로 오신 분과 그만두시는 분이 사제관 물품 인수인계를 했어. 그러자 B 신부 사제관이 복잡하게 된 거지. 그 와중에 오전에 동창 신부 중에 D 신부가 B 신부에게 전화를 해서 급해서 일을 좀 도와달라고 한 거야. 순간 주방이 복잡한 마당에 다른 동창 신부가 전화해서 만나자고 하니, 그냥 거기를 가 버린 거지!”
나는 C 신부님을 보며, 웃으면서 물었습니다.
“신부와의 약속을 어떻게 하셨어요? 연기하셨어요?”
그러자 C 신부님은,
“야, 연기는 무슨! 약속은 완전 잊어버렸지. 나는 그것도 모르고 거기 사제관 점심시간 늦을까, 부랴부랴 B 신부 사제관에를 갔었는데….”
다음 호에 계속
가장 많이 본 기사
기획연재물
- 길 위의 목자 양업, 다시 부치는 편지최양업 신부가 생전에 쓴 각종 서한을 중심으로 그가 길 위에서 만난 사람들과 사목 현장에서 겪은 사건들과 관련 성지를 돌아본다.
- 다시 돌아가도 이 길을한국교회 원로 주교들이 풀어가는 삶과 신앙 이야기
- 김도현 신부의 과학으로 하느님 알기양자물리학, 빅뱅 우주론, 네트워크 과학 등 현대 과학의 핵심 내용을 적용해 신앙을 이야기.
- 정희완 신부의 신학서원어렵게만 느껴지는 신학을 가톨릭문화와 신학연구소 소장 정희완 신부가 쉽게 풀이
- 우리 곁의 교회 박물관 산책서울대교구 성미술 담당 정웅모 에밀리오 신부가 전국 각 교구의 박물관을 직접 찾아가 깊이 잇는 글과 다양한 사진으로 전하는 이야기
- 전례와 상식으로 풀어보는 교회음악성 베네딕도 수도회 왜관수도원의 교회음악 전문가 이장규 아타나시오 신부와 교회음악의 세계로 들어가 봅니다.
- 홍성남 신부의 톡 쏘는 영성명쾌하고 논리적인 글을 통해 올바른 신앙생활에 도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