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IMF 체제 이후 첫 여름 휴가철을 맞았다. 지친 몸과 마음을 재충전하기 위해 어딘가 떠나고 싶지만 만만찮은 경비 때문에 올 여름이 부담스럽기만 하다. 그래서 올 여름 휴가는 가족 단위의 자동차 성지 순례를 떠나볼 것을 제안한다. 비교적 저렴한 경비로 여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기도로써 자신을 재충전할 수 있는 일석이조의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관광지 인접 성지 소개···주평국신부 자문
성지 순례 지도자 주평국 신부의 자문을 통해 유서 깊고 경관이 빼어나며 관광지와 인접한 성지를 엄선했다. 또한 보다 편안하게 성지 순례를 할 수 있도록 주평국 신부의 성지 및 관광 안내지도 「그님의 숨결따라」(「기쁜소식(02-762-1194)」ㆍ정가 4천원)를 지참할 것을 권한다. 훌륭한 길잡이가 될 것이다.
■ 서울대교구
† 명동 성당
한국 천주교회의 심장이며 옛명례방이 있던 자리. 지하성당에 순교자들의 무덤이 있다(02-774-3890~2)
† 서소문
한국 천주교회 평신도들의 최대 순교 성지. 중림동성당에 순교자 기념관이 있다(02-392-5018).
† 당고개
최양업 신부의 모친 이성례 마리아와 9명의 성인이 순교한 곳. 삼각지성당(02-795-2821)
† 새남터
김대건 신부를 비롯한 성직자들이 순교한 성지. 새남터성당(02-713-3680)
† 절두산
병인박해 당시 수많은 신자들이 순교한 한강변의 순교 성지. 절두산 순교기념관(02-3134-4434~5)
† 황사영 묘
백서로 유명한 황사영 알렉시오의 묘소가 있는 곳. 의정부2동성당(0351-872-0550)
† 마재
다산 정약용을 비롯한 4형제의 생가터. 덕소성당(0346-577-0540)
■ 춘천교구
† 강릉동헌(칠사당, 객사문)
병인박해 때 천주교인들을 신문하고 처형한 곳. 임당동성당(0391-42-0700)
■ 대전교구
† 공세리성당
박의서ㆍ원서ㆍ익서 형제의 묘소가 있는 곳이며 1921년도에 세워진 고딕성당이 유명하다. 공세리 성당(0418-533-8181)
† 여사울(이존창 생가터)
내포의 사도 이존창 루도비코의 생가가 있던 곳. 인근에 추사 김정희의 유택이 있다. 신례원성당(0458-65-1002)
† 솔뫼
김대건 성인의 탄생지. 솔뫼관리사무실(0457-362-5021)
† 해미
생매장터로 유명한 순교지. 해미관리사무실(0455-688-3183)
† 갈매못
병인박해 때 다블뤼 안주교, 황석두, 장주기 등이 순교한 곳. 보령 대천동성당(0452-34-1214)
† 다락골 줄무덤, 최경환 생가터
병인박해 무명 순교자들의 무덤이 있는 곳. 인근에 최양업신부의 부친 최경환 성인의 생가터가 있다. 청양성당(0454-43-7123)
■ 인천교구
† 강화 갑곶돈대
병인양요의 시작점이자 병인 박해로 많은 신자들이 죽어간 곳. 강화성당(032-933-2282)
† 관청리 형방
병인박해 당시 천주교인들에 대한 모진 고문이 행해진 곳. 강화성당(032-933-2282)
■ 수원교구
† 남한산성 동문
기해박해와 병인박해 때 약 350명의 순교자가 처형된 곳. 신장성당(0347-794-7911)
† 이천 어농리 윤유일 묘
주문모 신부를 모셔오는데 큰 기여를 한 윤유일 묘소가 있는 곳. 이천 성당(0336-635-0552)
† 단내 정은 바오로 묘
순교자 정은 바오로의 묘소이자 김대건 신부가 사목한 교우촌터. 이천 성당(0336-635-0552)
■ 원주교구
† 풍수원성당
강원도 지방 최초의 본당. 풍수원성당(0372-42-0035)
† 배론
최초의 신학당. 최양업 신부묘소가 있고 황사영 백서가 쓰여진 곳. 배론관리사무실(0443-42-4527)
† 용소막성당, 남종삼 생가터
강원지역 세 번째로 설립된 본당. 선종완 신부의 생가터와 기념관이 있는 곳. 남종삼 성인의 생가터가 있다. 용소막성당(0371-763-2341)
■ 대구대교구
† 한티
순교자들의 유해가 있는 묘소로 완벽한 순교성지이다. 한티관리사무실(0545-975-5151)
† 신나무골
유서깊은 교우촌이자 프랑스선교사들이 대구 진출 전초기지로 삼았던 곳. 신동성당(0545-972-2014)
† 대구 관덕정
성 이윤일 요한을 비롯한 경상도 지방의 신자들이 치명한 곳. 관덕정 순교기념관(053-254-0151)
■ 부산교구
† 부산 오륜대
한국 최고의 순교자 기념관. 한국순교복자수녀회(051-582-2920)
† 살티
부산 교구 최고(最古)의 공소. 언양성당(052-262-5312)
† 죽림굴
박해시대 피난지이며 최양업신부가 마지막 서한을 작성했던 곳. 언양성당(052-262-5312)
■ 청주교구
† 배티
교구촌이자 천혜의 피신처로 최양업 신부의 활동 근거지. 배티관리사무실(0434-33-0691)
† 연풍
황석두 성인의 고향이자 최양업 신부의 발자취가 서려있는 곳. 초대교회 때부터 형성되어온 교우촌. 연풍관리사무실(0445-33-5064)
■ 마산교구
† 옥포 윤봉문 묘
1888년 순교한 윤봉문의 묘소가 있다. 옥포성당(0558-687-2347)
■ 안동교구
† 홍유한 유택지
한국 천주교 창립 30년전 이미 천주 신앙을 받아들인 선각자 홍유한 선생이 홀로 신앙생활을 하던 곳. 풍기성당(0572-636-2204)
■ 광주대교구
† 몽탄 이내수 신부 묘
우리나라 6번째 사제인 이내수 신부의 묘소가 있는 곳. 몽탄성당(0636-453-6004)
† 다산 초당
다산 정약용이 유배생활을 하면서 실학을 집대성한 곳. 광주대교구청(062-525-9004)
■ 전주교구
† 나바위성당
1845년 10월 21일 김대건 신부가 사제수품후 입국한 곳. 나바위 성당(0653-861-9210)
† 여산 동헌, 숲정이
호남의 관문으로 무진박해 당시 수많은 순교자를 배출한 곳. 여산성당(0653-836-5016)
† 전주 중바위 치명자산
유항검. 이 루갈다 동정부부와 가족의 묘소가 있는 곳. 치명자산관리사무실(0652-85-5755)
■ 제주교구
† 정난주 마리아 묘
황사영의 부인 정난주의 묘소가 있는 곳. 모슬포성당(064-94-2074)
† 제주 관덕정
1901년 제주 교난 때 120명의 순교자를 배출한 곳. 중앙성당(064-53-2271)
† 황사평 묘
신축난 때 순교한 순교자들의 묘소가 있는 곳. 중앙성당(064-53-2271)
◆ 관광지 주변 성당
■ 서울ㆍ경기
▲ 도봉산=도봉1동성당(02-3491-2326)
▲ 한탄강 유원지/재인폭포=전곡성당(0355-32-1987)
▲ 산정호수=운천성당(0357-31-3263)
▲ 청평 유원지=청평성당(0356-84-2881)
▲ 영흥도 해수욕장=영흥공소(032-886-7444)
▲ 서포리 해수욕장=서포리공소(032-831-2806)
■ 강원권
▲ 설악산=설악동성당(0392-636-7625)
▲ 치악산=학성동성당(0371-42-3636)
▲ 경포대/송정/안인 해수욕장=임당동성당(0391-42-0700)
▲ 하조대/낙산/인구/죽도 해수욕장=양양성당(0396-671-5001)
▲ 북평/추암/삼척 해수욕장=북평성당(0394-521-1784)
■ 충청권
▲ 문경새재/단양팔경/월악산=수안보성당(0441-846-1351)
▲ 속리산=보은성당(04431-43-5680)
▲ 용추폭포/고산9경=괴산성당(0445-32-2221)
▲ 만리포/연포/몽산포/청포대/학암포 해수욕장=태안성당(0455-72-3370)
■ 영남권
▲ 소백산/희방사/부석사=풍기성당(0572-636-2204)
▲ 울릉도/성인봉=도동성당(0566-791-2047)
▲ 주왕산/월외폭포/달기약수터=청송 성당(0575-72-2051)
▲ 지리산=함양성당(0597-63-1009) *호남권에서는 남원쌍교동성당(0671-33-4004)
▲ 해운대/송정 해수욕장=해운대 성당(051-746-5881)
■ 호남권
▲ 변산해수욕장/내변산/채석강=부안성당(0683-84-1333)
▲ 내장산=연지동성당(0681-33-0898)
▲ 덕유산=무주성당(0657-324-0555)
▲ 홍도=홍동1구 공소(0631-246-2937)
▲ 대광해수욕장=무안성당(0636-454-1004)
■ 제주도
▲ 천지연폭포/중문관광단지=중문성당(064-94-6123)
▲ 용머리/산방굴사/화순해수욕장=모슬포성당(064-94-2074)
▲ 비자림/성산일출봉/우도=성산포성당(064-82-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