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차별은 정의에 어긋나는 일”
“일본의 외국인등록법을 둘러싼 문제는 한국과 일본 두 나라 역사와 관련된 일이자 양국 국민들의 인식의 지평을 넓히는 일이기도 합니다.”
10월 10∼12일 충북 청원에서 열린 외국인등록법(외등법) 문제 국제심포지엄에 참석하기 위해 한국을 찾은 일본 주교회의 정의평화협의회 회장 마츠우라 고로 주교(55)는 외등법 문제가 일본만의 문제가 아니라 긴밀한 시민 연대가 필요한 국제적 사안임을 강조했다.
이번 국제 행사를 주최한 ‘외등법문제를취급하는전국그리스도교연락협의회’(외기협) 공동대표를 맡고 있기도 한 고로 주교는 “외등법 문제는 일본의 전쟁 책임과 전후 보상 문제뿐 아니라 아시아지역의 미래와 관련해서도 함께 풀어가야 할 숙제”라고 밝혔다.
“일본교회도 1980년대 외등법을 둘러싼 외국인 문제를 통해 각종 사회 문제를 새롭게 바라보기 시작했음을 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실제 지난 1980년 재일한국인 1세가 지문 날인을 거부함으로써 일본 사회에서 불거지기 시작한 외등법 문제는 외국인들에 대해 폐쇄적인 자세를 지녀온 일본인들의 의식을 뒤흔들어놓았다.
일본교회도 이를 계기로 일본 개신교계와 함께 1987년 외기협을 발족시키는 등 이전의 소극적인 모습에서 탈피해 사회문제에 본격적인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이런 연장선상에서 일본교회는 1992년 그리스도교적 입장에서 외국인들과 함께 살아갈 수 있는 구체적인 대안을 담은 ‘외국인주민기본법’(안)을 만들어 정부에 제안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쳐오고 있다.
“일본은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여러 나라에 고통을 끼친 과거를 잊어버리고 우경화 경향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과거를 망각하지 않고 보다 나은 미래를 만들어나가기 위해서도 한일 두 나라간의 협력이 절실합니다.”
20년에 걸친 시민운동의 결과 지난 2000년 폐지됐던 외국인 지문날인제도가 근래 테러 위협을 빌미로 일본 국회가 통과시킨 ‘출입국관리 및 난민인정법’(입관법)으로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는 것도 새로운 협력과 연대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어떠한 형태로든 사람을 차별하고 그럼으로 인해 인권을 무시하는 것은 하느님의 정의에 어긋나는 일입니다. 신자들의 일상에서부터 이러한 차별의식을 몰아낼 수 있어야 합니다.”
가장 많이 본 기사
기획연재물
- 길 위의 목자 양업, 다시 부치는 편지최양업 신부가 생전에 쓴 각종 서한을 중심으로 그가 길 위에서 만난 사람들과 사목 현장에서 겪은 사건들과 관련 성지를 돌아본다.
- 다시 돌아가도 이 길을한국교회 원로 주교들이 풀어가는 삶과 신앙 이야기
- 김도현 신부의 과학으로 하느님 알기양자물리학, 빅뱅 우주론, 네트워크 과학 등 현대 과학의 핵심 내용을 적용해 신앙을 이야기.
- 정희완 신부의 신학서원어렵게만 느껴지는 신학을 가톨릭문화와 신학연구소 소장 정희완 신부가 쉽게 풀이
- 우리 곁의 교회 박물관 산책서울대교구 성미술 담당 정웅모 에밀리오 신부가 전국 각 교구의 박물관을 직접 찾아가 깊이 잇는 글과 다양한 사진으로 전하는 이야기
- 전례와 상식으로 풀어보는 교회음악성 베네딕도 수도회 왜관수도원의 교회음악 전문가 이장규 아타나시오 신부와 교회음악의 세계로 들어가 봅니다.
- 홍성남 신부의 톡 쏘는 영성명쾌하고 논리적인 글을 통해 올바른 신앙생활에 도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