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회가 냉담자 문제로 이 땅의 복음화 과업 수행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대부분 본당에서 교적상 신자들 중 미사 참례율은 불과 30%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어, 정말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어렵게 전교해 영세를 시키고 나면 얼마되지 않아 바로 냉담자의 길로 들어가는 이들도 상당수 있다고 하니, 이는 한국교회의 총체적인 위기가 아닐 수 없다.
그만큼 우리교회가 신영세자들을 위한 관리와 배려가 부족하다는 한 단면을 보여주는 부분이기도 하다.
그동안 한국교회가 「선교」를 기치로 내걸고 대대적인 활동을 전개한 결과, 어느정도 소기의 성과를 달성할 수 있었다. 「가두선교」 「신영세자 찾기 운동」 등 현 사회에 필요한 다양한 선교방법을 통해 적극적으로 천주교를 알려왔다.
하지만 문제는 실천에 있다. 신자들이 선교를 통해 이웃 전교에 앞장서야된다는 사실은 알고 있지만, 과연 얼마나 많은 이들이 참여하고 있는지 성찰해볼 문제다.
본당에서 레지오 마리애 등 신심 사도직 단원으로 활동하는 일부 신자들을 제외하고는 거의 대부분이 무관심으로 일관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에 더 큰 문제는 신영세자의 경우 처음엔 열정을 갖고 시작했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본당 공동체에 동화되지 못해 자연스럽게(?) 멀어지게된다는 점이다. 안타깝게도 이것이 오늘날 한국교회의 현실이자 해결해야할 과제이다.
이를 위해 지금까지 여러차례 지적되어 왔지만 일부가 아닌 전 신자를 대상으로 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신자 재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냉담자들을 예방하는 좋은 방안이될 수 있을 것으로 사려된다.
『신자라지만 교리에 대해 무얼 알아야 선교하지요』
『성당에 나가도 함께 어울리기 힘들고 재미도 없고 해서 냉담하게 됐어요』
내가 아는 신자들중 선교에 동참하지 못하는 신자와 냉담하게된 신자의 이유있는(?) 항변이다. 어쩌면 이 두사람의 이야기에서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바로 재교육 강화의 필요성이다. 사실 많은 신자들의 경우 성서말씀이나 교리에 있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선뜻 남에게 전교한다는 것이 쉽지 않을 뿐아니라 기본적인 신앙의 바탕이 이뤄지지 않아 서로간에 작은 불협화음 등으로 인해 쉽게 성당에 나오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재교육이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선 모든 신자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교육 시간을 나눠 추진돼야 하고, 필요하다면 「생명문제」 「가정문제」 등 사안에 따라 외부강사 초빙 등을 자주 마련해 신자들에게 시대 흐름에 맞는 올바른 신앙을 유지해나갈 수 있도록 힘을 길러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일선 사목자들을 중심으로 이러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전개될 때 당장은 아니더라도 점차 본당 공동체 분위가 쇄신되고 변화될 것으로 확신한다.
가장 많이 본 기사
기획연재물
- 길 위의 목자 양업, 다시 부치는 편지최양업 신부가 생전에 쓴 각종 서한을 중심으로 그가 길 위에서 만난 사람들과 사목 현장에서 겪은 사건들과 관련 성지를 돌아본다.
- 다시 돌아가도 이 길을한국교회 원로 주교들이 풀어가는 삶과 신앙 이야기
- 김도현 신부의 과학으로 하느님 알기양자물리학, 빅뱅 우주론, 네트워크 과학 등 현대 과학의 핵심 내용을 적용해 신앙을 이야기.
- 정희완 신부의 신학서원어렵게만 느껴지는 신학을 가톨릭문화와 신학연구소 소장 정희완 신부가 쉽게 풀이
- 우리 곁의 교회 박물관 산책서울대교구 성미술 담당 정웅모 에밀리오 신부가 전국 각 교구의 박물관을 직접 찾아가 깊이 잇는 글과 다양한 사진으로 전하는 이야기
- 전례와 상식으로 풀어보는 교회음악성 베네딕도 수도회 왜관수도원의 교회음악 전문가 이장규 아타나시오 신부와 교회음악의 세계로 들어가 봅니다.
- 홍성남 신부의 톡 쏘는 영성명쾌하고 논리적인 글을 통해 올바른 신앙생활에 도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