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세계교회
군복음화
문화
출판
교리/말씀
생태/환경
사람과사람
열린마당
기획
특집
수원교구
[정의 없이 평화 없다] 윤공희 주교 강연초-왜 교회는 정의를 말해야 하나?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가 72년을「정의, 평화의 해」로 정하고 그 실천 방향을 구현하고 있음과 때를 같이하여 서울교구는 금년 사순절 기간 동안「... 기획 | 기획/특집
1972-02-27 허종렬 기자
[예비자 교리] 29. 하느님은 어떤 분 / 김영환 신부 백화점에 가서 물건을 샀다. 나는 물건을 고르다가『더 희고 깨끗한 것을 하나 주시오』하고 점원에게 청했다. 점원은 이것저것을 찾다가『이것이 ... 기획 | 예비자 교리
1972-02-27
[정의와 평화를 위한 교회의 사회 참여] 7. 사회 참여의 구체적 목표 / 정하권 신부 ■사회 참여의 의의 교회가 사회에 참여한다는 것은 지상에 영주할 낙원을 건설한다는 뜻이 아님을 말하였거니와 그런 낙원은 영원히 도래하지 ... 기획 | 기획/특집
1972-02-27 정하권 신부·한국사목연구원 원장
중세 그리스도교 음악사-그레고리안 성가의 성립 ② / 김혜자 그리스도교적 세계의 이상적인 통치자를 꿈꾸던 콘스탄티누스 황제가 로마를 떠나 동방 비잔틴에 도읍을 옮기며(330년) 그리스도교는 교회의 공인... 기획 | 기획/특집
1972-02-20 김혜자·서울음대 강사
[은행나무집 아이들] 17. 경수와 어머니 ④ 어머니와 형일의 어머니가 집을 나간 후 경수는 방안이 어둑어둑해지는데도 형광등을 켤 생각도 하지 않고 방바닥에 엎드려 있다. -아빠가 알면 ... 기획 | 기획/특집
1972-02-20 박홍근 작·김성희 그림
[예비자 교리] 28. 자연은 하느님의 작품 / 김영환 신부 세상에 신기한 것은 하나둘이 아니리라. 겨울철도 지나갔다. 금년에는 겨울답지 않게 따뜻한 날씨에 산야의 초목뿐 아니라 정원의 개나리 살구 할 ... 기획 | 예비자 교리
1972-02-20
[정의와 평화를 위한 교회의 사회 참여] 6. 신앙의 사회적 차원 / 정하권 신부 ■ 교회의 지상 사물관 우리가 조물주를 존경한다면 그의 업적을 또한 존중하지 않을 수 없다. 이 지상 사물들은 각기 고유한 존재 의의를 지니... 기획 | 기획/특집
1972-02-20 정하권 신부·한국사목연구원 원장
중세 그리스도교 음악사-초기 그리스도교 음악 ① / 김혜자 최초의 복음서인「마테복음서」가 헤부라이어 (엄격한 아라마이어)로 쓰여진 것이라든가 그리스도교 발생 당시의 유대도 로마제국에 속해 있었던 ... 기획 | 기획/특집
1972-02-13 김혜자‧서울음대 강사
[은행나무집 아이들] 16. 경수와 어머니 ③ 『난 엄마가 없는 집은 싫었단 말야』 경수가 울먹이며 외친 한마디는 어머니의 가슴을 날카로운 송곳으로 찌르는 것 같은 큰 충격을 주었던 것이... 기획 | 기획/특집
1972-02-13 박홍근 작‧김성희 그림
[정의와 평화를 위한 교회의 사회 참여] 5. 계시에 나타난 세계상 / 정하권 신부 교회나 신자의 활동의 원리는 계시에서 나와야 하므로 우리는 먼저 계시에 나타난 세계상을 일별할 필요가 있다. 세상은 드라마의 연속 천지... 기획 | 기획/특집
1972-02-13 정하권 신부ㆍ한국사목연구원 원장
시인 르포르의 생애 (끝) / 정은순 장편소설「베로니까의 땀수건」의 2부「천사의 관」은 좀 복잡한 구조와 높은 상징성을 지닌 사랑의 이야기이다. 여주인공 베로니까는 본성적으로 ... 기획 | 기획/특집
1972-02-06 정은순·서강대학 철학과 강사
[은행나무집 아이들] 15. 경수와 어머니 ② 경수는 어머니가 없는 집이 정말로 싫었다. 늘 어머니가 집에 있는 친구들이 얼마나 부러웠는지 모른다. 경수는 국민학교에 입학해서부터 어머니... 기획 | 기획/특집
1972-02-06 박홍근 작 ·김성희 그림
맨앞 이전10개 1721 1722 1723 1724 1725 1726 1727 1728 1729 1730 다음10개 맨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