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세계교회
군복음화
문화
출판
교리/말씀
생태/환경
사람과사람
열린마당
기획
특집
수원교구
[데레사 수녀 서강대 강연전문] 하 굶주림은 빵, 즉 먹을 것에 대한 배고픔만은 아닙니다. 이세상에는 오히려 사랑에 굶주리는 사람들이 많읍니다. 마음에 상처를 입고 사랑에 굶주린... 기획 | 기획/특집
1981-05-31
[한국교회 2백주년을 생각한다] 20. 기념의회를 향한 제언 - 기념회의의 제문제 6 기념회의는 이미 주교 1명, 사제 3명, 신도 1명이 참석한 기념회의 준비 간담회를 거쳐 주교 1명, 사제 7명, 수녀 1명, 신도 1명으로 준비위원회... 기획 | 한국교회 200주년을 생각한다
1981-05-31 양한모·크리스찬사상연구소장
[한국 교회사의 민족사적 의미] 6. 근대적 교육의 촉진 조선에 천주교가 도입된 배경 가운데 하나로 우리는 당시의 학자들이 서양의 과학기술에 대해 호기심을 가지고 있었던 사실을 들 수 있다. 이승훈... 기획 | 한국 교회사의 민족사적 의미
1981-05-31 조광·동국대 교수
[심신장애자 해 교황청 지침] 3 4, 오늘날 가능한 모믄 기술과 치료를 동원한다 하더라도 장애가 완전히 복구되거나 치유될 수는 없다. 그렇기 때문에 장애자들이 아직도 자신들의... 기획 | 기획/특집
[조선교구설정 150주 기념 문학강연초] 3. 문학이 발견해야할 삶의 은총 은총이라든가 보람이란 말은 귀에 설은 말이 아니다. 그러면서 은총이라고하면 흔히 거창하게 받은 은혜같은 것, 그리고 어렵게 갖게된 영예같은 ... 기획 | 조선교구설정 150주 기념 문학강연초
1981-05-24 한무숙ㆍ소설가
[성인들의 발자취] 37. 성 안드레아 보볼라 안드레아 보볼라는 1591년 플란드「샌도미에르즈」의 귀족가문에서 출생했다. 18세 되던 1609년「리투아니아」에 있는 예수회에 들어간 알드레아... 기획 | 성인들의 발자취
1981-05-24
[조선교구설정 150주 기념 문학강연초] 2. 문학주제로서의 초자연적 원리 외람된 말이지만 우리 詩를 읽으면서 가끔 우리시의 題材의 차원을 서글프게 여길때가 많다. 왜냐하면 시에 쓰여진 거의가 일상적인 경험이나 감각... 기획 | 조선교구설정 150주 기념 문학강연초
1981-05-17 구상ㆍ시인
[장애자주일 맞아 엄마와 함께 읽는 동화] 네잎 클로바밭의 어린 양치기 - 상 참으로 이상한 꿈이었으요. 뉘집의 엄마가 아기를 가진지 석달째 되던 어느 오월이었어요. 밤 꿈에도 엄마는「은총의 풀밭길」이란 이름이 붙은 네... 기획 | 장애인주일
1981-05-17 황정윤·아동문학가
[철저한 침묵속에 하느님과 대화 - 트라피스트 수도원에서의 한달] 중 내가 이 수도원에서 줄곧 생활하면서 깊이 느낀 것은 이 수도원은「이 세상의 불」이라는 것이었다. 이 세상에 성령의 불을 지르는 불이었다. 이 ... 기획 | 기획/특집
1981-05-17 오 라우렌시오 신부
[심신장애자 해 교황청 지침] 2 3、인간사회와 문화의 질은 그 구성원중 가장 약한 처지에 있는 인간들을 존경하는 척도로서 가늠된다. 인간을 하나의 기능적인 관점에서만 받아들... 기획 | 기획/특집
1981-05-17
[상식교리] 46. 주교의 반지 반지의 역사는 태고때부터 권위의 상징으로、어떤 계약의 상징으로、또는 사랑의 상징으로 나타나고 있다. 가톨릭에서는 교황을 위시해 추기경ㆍ... 기획 | 상식교리
1981-05-17 박도식 신부·철학박사·경주본당주임
[성인들의 발자취] 36. 성녀 딤프나 성녀 딤프나는 625년 아일랜드의 왕가에서 출생했다. 그녀의 아버지는 이교도 왕이었으며 어머니는 아름다움과 경건한 신앙심을 겸비한 가톨릭 신... 기획 | 성인들의 발자취
맨앞 이전10개 1541 1542 1543 1544 1545 1546 1547 1548 1549 1550 다음10개 맨뒤